지역사회개발모델(local/community development)
- 자조, 과정, 주민역량강화, 주민의 광범위한 참여
- SW: 조정자, 조력자, 촉매자, 교사
1. 지역사회개발모델의 의의
- 자조기반에 근거하여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의 협동적 문제해결 능력과 사회통합이라는 과정목표를 통해 지역사회를 새롭게 만드는 데 초점
- 지역사회의 문제나 욕구를 다룰 때 주민들의 자조(self-help)정신 강조
- 주민들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켜 주는 데 역점을 두고, 문제의 파악 및 해결과정에 있는 주민들의 광범위한 참여를 장려
- 이 모델은 지리적 측면에서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집단으로 봄.
- 리더십은 지역사회 내부에서 도출되고, 방향제시와 통제는 지역주민에 의해 이루어짐.
- 사회문제의 접근에 있어서 상향식 접근, 풀뿌리 조직의 구성원들로 부터의 접근 강조
- SW의 객관성이 강조, SW의 직접적 개입보다는 간접적 개입을 통해 주민들과 함께 일할 것을 강조
- CT: 지역사회 주민
- SW: 조정자, 촉매자, 지지자, 교육자 등의 역할 수행
- 기본전략: 지역주도 의사결정, 함께 모여서 이야기해보자(Let's all get together and talk this over).
2. 지역사회개발모델의 한계
① 지역사회의 변화 노력을 위해 지역사회의 관련집단들 간의 합의와 협력을 이끌어 내기가 어려움.
② 지역사회의 관련집단들이 성, 계급, 인종 등과 관련된 경계를 초월하는 공통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의 현실성 문제
③ 실질적인 정책결정자가 사회변화를 지지할 수 없는 경우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협상을 거부할 수 있는 권련구조의 문제
사회계획·정책 모델(social planning / policy)
- 합리성, 기술적과정, 전문성, 과업
- SW: 자료수집/분석가, 프로그램 계획/ 실행자, 촉진자
1. 사회계획 및 정책 모델의 의의
-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합리적인 면 강조
- 청소년문제, 주택 정신보건 등과 같은 주요 사회문제를 해결할 때, 기술적 과정을 중시 즉, 전문성을 지닌 계획가의 존재가 중요
- 공식적인 계획 과 정책 준거틀에 대한 설계가 핵심적
- 지역주민의 참여보다는 계획이나 정책집행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과업목적에 초점.
- 이 모델은 문제 확인, 사정, 목표, 개발, 실행, 평가라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사회복지사들은 문제해결모델로서 이러한 요소를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 SW의 역할: 전문가로서 지역사회실천의 과정을 주도, [욕구가 있는 지역사회주민들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 →[ 지역사회주민들은 수급자 역할] , 자료수집가 및 분석가, 프로그램 계획 및 실행자, 촉진자
- 현대 사회계획은 고도의 자료분석 기법들이 활용되는데, 전문가는 자료수집, 분석 그에 입각한 프로그램의 계획과 평가까지 담당
2. 사회계획 및 정책 모델의 한계
① 계획가는 무제한적인 시간과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
② 계획 과정의 합리성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력을 고려하지 못한다.
사회행동모델(social action)
- 과업 +과정: 과업을 우선 중시하며, 필요 따라 과정을 활용
- SW: 조직가, 선동자, 협상자, 옹호자, 중개자
1. 사회행동모델의 의의
- 사회행동모델: 지역사회의 억압받고 소외된 주민들이 사회정의와 정치적 공평성의 입장에서 사회, 정치, 경제적으로 보다 나은 처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활동
- 이 모델에서는 지역사회 내 권력과 자원의 재분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의사결정의 접근성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의 변화에 초점
- 즉, 지역사회의 기존 제도나 상태에 대한 변화를 추구. 항의나 시위, 협상 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함.
- 기본적으로 과업 달성을 중시. 적절한 의사결정구조의 활용 또는 관계 형성 등과 같은 과정목표는 무시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과정목표를 활용하기도 함.
- 일반적으로 사회행동이라는 용어는 조직적 대항, 입법로비활동, 대중조직의 개발, 정치적 캠페인 등을 포함하는 기존 사회정책과 법률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광의의 과업을 의미하는 데 사용.
- SW의 역할: 조직가(직접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조직화), 사회적 약자를 지지하고 옹호하는 활동, 선동자, 중개자, 협상자
2. 사회행동 모델의 한계점
① 일부 실천가는 지역사회상황에서 실천활동을 대항활동(confrontation)으로 제한시키고 있다
② 일부 조직가와 지역사회구성원이 대항전략에 대해 주저할 수 있다
③ 윤리적 이슈와 관련된 것으로 대항형태의 불법성이 있을 수 있으며, 긴급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어 조직가와 조직구성원이 위험에 놓여 있을 수도 있다
실천모델 표 정리(지역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
지역사회개발 | 사회계획 | 사회행동 | |
지역사회구조와 문제상황에 관한 전제 |
지역사회의 상실, 아노미; 관계 및 민주적 문제해결 능력의 결여; 정태적 전통적 지역사회 |
실질적인 사회문제, 정신 및 신체적 건강문제, 주택, 여가 등 기술적 과정 즉, 전문성 있는 계획가에 의한 개입이 필요한 주요문제가 있음. | 사회적 고통을 당하고 있는 사람, 사회부정의, 박탈, 불평 등 |
지역사회활동 목표 |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협동적 활동 능력과 사회통합 ( 자조,과정목표) |
지역사회문제의 해결 (과업목표) | 권력관계와 자원의 재분배; 기본적인 제도와 정책 변화 (과업 및 과정목표) |
변화전략 | 문제 결정 및 해결에 다수의 사람 참여 | 문제에 관한 자료수집과 최적의 합리적 행동조치 결정 | 이슈의 구체화와 표적대상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주민 동원 |
변화전술과 기법 |
합의중시: 지역사회집단 간, 이해관계 간 상호의사소통, 집단토의 | 사실분석 분석결과에 따른 합의 또는 갈등전술이 사용됨 |
- 갈등 대결 - 직접행동 - 협상 |
사회복지사의 역할 |
조력자-촉매자, 조정자; 문제해결기술과 윤리적 가치에 대한 교사 | 사실수집자와 분석자, 프로그램실행자, 촉진자 | 행동주의적 옹호자; 선동자, 중개자, 협상자, |
변화의 매개체 | 과업지향적인 소집단 활용 | 공식 조직과 객관적인 자료 활용 | 대중조직과 정치과정 활용 |
권력구조에 대한 지향성 | 협력자로서 권력구조의 구성원 | 고용주와 후원자로서의 관계 | - 활동의 외부표적으로서 권력구조: 타도 대상자, 압제자 |
수급자체계 (지역)의 범위정의 |
지리적 측면에서 전체 지역사회 | 지역사회 전체 또는 지역사회 일부 | 지역사회 일부 |
지역사회 하위부분 (community subparts)의 이해관계에 대한 전제 |
공통의 이해관계 를 가지며, 조정 가능한 차이가 있음. |
- 이해관계가 조정가능 - 조정이 어려우면, 갈등 |
쉽게 조정할 수 없는 갈등적 이해관계, 자원의 희소성 |
수급자 (beneficiaries)개념 |
지역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시민(citizens) |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 (consumers) |
의사결정과정에서 소외된 희생자(victims) |
수급자역할의 개념 |
상호작용적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는 시민 | 소비자 / 수령자 (recipients) |
고용주, 지역사회구성원, 회원 |
임파워먼트의 활용 |
- 협동적이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 능력 구축 - 주민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개인적 주인의식 고취 |
- 소비자들의 서비스 욕구 규명 - 소비자의 서비스 선택의 정보 제공 |
- 수급자체계(지역사회)를 위한 객관적 권력 확보 - 즉, 지역사회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권리와 수단 획득 - 참여자들의 주인의식 고취 |
<관련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보러가기>
'사회복지사1급 > 지역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복지론] 10. 포플/ 로버츠&테일러의 지역사회실천모델 요약정리 (0) | 2021.09.30 |
---|---|
[지역사회복지론] 9.웨일&갬블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근린지역사회조직화/기능적지역사회조직화/지역사회경제개발/사회계획 등등) (0) | 2021.09.30 |
[지역사회복지론12~20기출]part 03. 지역사회 관련 이론 [모음집] (0) | 2021.09.29 |
[지역사회복지론] 7.지역사회복지 주요 이론(사회체계이론, 생태이론, 권력관계이론<갈등이론, 사회구성주의, 사회적교환이론, 자원동원이론 등>, 엘리트이론vs 다원주의이론 및 그 외 3가지) .. (0) | 2021.09.29 |
[지역사회복지론12~20기출] part 02.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영국/미국/한국) (0) | 2021.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