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1급/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론] 6.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by 정보덕보기 2021. 9. 28.
728x90
반응형

미국 - 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 : 1890 ~ 1920년대)


▶ 사회진화론(자선조직협회 이념), 급진주의(인보관의 이념), 실용주의(루스벨트), 자유주의 이념(미국의 국가 이념)

▶ 19세기 미국은 산업화 이후 농촌 및 유럽에서 이주한 이주민의 도시집중화로 인한 지역사회문제가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어떤 형태로든 자구책을 마련해야 된다는 사회 지도자들의 개혁의지에 토대하여 지역사회조직사업이 발전하였다.

▶ 미국에서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출현 시기는 남북전쟁이 종식된 이후로서 자선조직협회 운동과 인보 관운동이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전문화의 원동력이 되었다..

자선조직협회(버팔로, 1877)

- 1877년 버팔로에서 최초의 C.O.S.가 창설되었다. 이 협회는 원래 빈민구호가 목적이었으나 기관들 간의 업무조정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구호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 이민문제, 빈곤, 질병 등의 문제에 대해 인도주의적 양심과 절망상태에 있는 빈민들의 처지를 개선하고자 하는 사회복지기관들이 많이 세워짐으로써 자선조직협회운동의 발전에 영향.


- 자선조직협회 설립취지

: 자선 중복 방지, 자선단체 업무 조정, 특정 개인이나 가족에게 제공하는 원조활동에 대한 사례회의를 조직화, 직접적인 구호와 서비스도 제공

- 빈민계층을 구호 받을 가치가 있는 자와 없는 자로 구분하여 가치가 있는 자를 대상으로 원조를 제공.


- 우애방문원을 통해 활동하며, 자선협회의 설립취지를 위해 원조대상의 명단을 작성, 사례분석회의를 통해 사례에 대한 원조 방안을
모색, 사회적.경제적 문제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 및 분석을 통하여 특정한 해결책을 모색 함.


- 빈민을 돕는 이론적 기반으로서 적자생존론에 기초한 사회진화론을 수용.


- 이러한 자선조직협회는 가정방문, 자원개발, 후원, 사회조사의 기술발전 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인보관운동(시카고, 1889)

- 1889년 Jane Adams에 의해 시카고에 Hull House가 설립됨.

- 인보관활동은 기독교사회주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지역주민과 인보관 워커들 간에 대화를 토대로 하여 주민들의 욕구와 필요한
서비스를 찾아내고 주민 상호간의관계를 저해하는 요인들 을 제거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생활조건을 개선하는 활동을 전개.


- 인보관활동은 서비스와 개혁이라는 목적 하에 참여와 민주주의를 강조함.


- 당신 미국사회는 산업화로 노동자들과 그들의 가족이 공장이나 부두 주변의 슬럼가에서 비참한 생활을 하였고, 범죄, 부도덕, 위생 등의 문제가 나타남.


-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관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파급되어 발전해 나감.


- 인보관은 노동자 특히 새로 이주해 온 이민족을 위한 사업을 전개하였으며, 이들을 위해 탁아소, 유치원, 아동클럽, 각종 성인클럽 등의 사업과, 노동조건개선, 주택개선, 기타 사회개혁운동이 주민의 참여에 의해 이루어짐.


- 그 후 미국 전역에 설립된 사회복지관은 사회개혁에 앞장 서게 됨.


- 인보관 운동의 관심은 빈민들의 구제를 직접 실행하는 것보다 빈곤의 원인제거, 도시생활 및 노도환경의 개선, 사후 치료보다는 사전예방적인 방법을 우선시 함. 개인의 도덕적 결함보다는 환경의 영향 즉, 사회구조적 측면에서의 문제를 강조하는 인도주의적 실증주의 사상에서 실천의 의미를 지님.

 

인보관 운동의 특징

① 산업화와 도시화 등 여러 근대적 사회문제에 대처

② 사회봉사를 통한 사회계획 추구

③ 다양한 계층, 계급 간의 거리 좁히기, 빈궁한 사람들이라는 생각보다 이웃이라는 생각으로 접근(빈민과의 동등한 관계 형성 강조)


미국 -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 : 1920 ~ 1950년대)


○ 1920~30년대 , 1940~ 50년대로 나누어 살펴 보도록 하겠다.

1920~1930년대

- 1920년대 : 사회복지관들은 이주민 본래의 민족적 특성을 살리고 보존하는 프로그램을 발전시킴.

- 1930년대 : 1929년 경제공황의 해결책으로 채택된 New Deal 정책에 의해 그동안 사회복지관에 의해 발굴, 실시되었던 많은 프로그램들이 정부나 다른 기관에 의해서 수행되게 됨. 이 시기에는 사회사업의 사회개혁보다는 정신의학적 조정에 관심을 가지게 됨.

1935년 : 사회보장법의 입법 등으로 사회복지 영역에서 연방정부의 개입이 확대되기 시작. 과거의 민간사회복지조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빈민구제와 이와 관련된 활동 정부기관으로 이양되어, '지역중심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됨.

(1935년, 민간주도의 빈민구제 관련 활동연방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기 시작)

 

- 지역사회의 민간조직은 그들의 사업을 확장해서 확대된 복지수요에 대처하고 긴급구호활동을 전개하기도 함.

1930년대, 공공복지의 마련 계기

[ 대공황 등으로 인한 복지수요 급증 ] → [기존의 민간 복지서비스로는 이를 담당하기 부족] → [연방정부의 개입 확산]

→ 이러한 흐름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민간과 정부 간 상호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등장한 것이 지역사회조직이다.

1930년대, 지역사회조직(CO: Community Organization) -앨린스키 방식

- 지역사회행동모델 → 1930년대 말, 앨린스키방식 → 시카고 노동자 거주지역에서 시작 → 미국 전역에 민주적인 지역사회 조직을 확산

- 지역사회조직가들이 정부기관에서 활동하였으며, 공공과 민간 기관의 상호협력이 시작.
→ 또한, 사회문제와 이와 관련된 관심이 커지면서 지역사회복지협회가 출현.

- 이 시기에 지역사회조직으로 앨린스키(S, Alinsky)지역사회조직운동지역사회에 기초로 한 지역사회조직의 형성, 지역사회구성원 스스로 조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둠.(우리나라도 1980년대, 철거반대운동 등에서 앨린스키 지역사회조직화 운동이 활발했음)

- 1939, 레인 보고서 "지역사회조직을 공식화하는 계기"

: 지역사회복지의 발전에 중요한 시금석이 된 ‘레인 위원회 보고서’로 알려져 있는 이 보고서는 지역사회조직의 실천분야(The Field of Community Organization)라는 제목으로 발표.

: 이 보고서는 사회사업 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조직을 공식화하는 계기를 마련함.

1940~1950년대

- 1950년대 : 지역사회 욕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발전으로 지역사회조직을 강조.

→ 지역사회복지기관들 : [협력적 접근 ☞ 계획적 접근]으로 변화

연방제정의 증가합리적인 계획에 대한 요구 多

- 이에 지역사회 실무자들이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

ㅁ 지역사회의 사실과 정보 수집

ㅁ 특정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행동계획의 공식화


ㅁ 지역사회복지서비스의 질 향상 및 상호협력 증진을 위한 계획의 개발


ㅁ 지역사회문제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 등.

지역 공동모금과협의회의 등장 계기

사회복지기관들의 재정 문제로 인한 기관의 기능 약화
[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식대공황] 이후
→ [ 산업화, 도시화, 인종대립갈등이 더욱 가속화]
→ 이에 급속하게 늘어난 도시 빈민과 지역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기관들이 계속 증가]하였지만, 이들 기관은 재정난에 허덕이게 되었다.

사회복지기관들의 모금활동에 대한 논란
→ 이 논란은 결국 사회복지기관 회계의 투명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짐에 따라 모금 창구를 단일화하여 논란을 종식시킬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 이러한 계기를 통해 자선가들과 전문가들은 구호방법의 개선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지역 공동모금제(최초: 1919년 뉴욕 로체스터)가 생겨나고

→ 불필요한 재정낭비 및 자원낭비 등, 협력관계 증진, 전문성 향성 등 이외에도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기관과의 효과적인 업무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지역복지협의회가 등장.

사회복지협의회의 등장 배경

- 여기서, 사회복지협의회의 등장배경을 더 살펴보면, 빈민원조의 전문성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빈민을 돕는 사람들 사이에 점차 전문성이 나타나기 시작함.

- 또한, 우애방문원, 자선조직협회가 세운 자선학교, 사회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행해진 사회조사 등은 복지전문가들이 자원봉사자의 협력을 얻어 지역사회의 복지욕구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하도록 하였음(전문성의 성장).


- 이러한 전문성의 성장과 함께, 지역사회서비스 간의 부족을 보완하고, 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와 앞으로의 욕구를 미리 찾아내려는 전문가들의 관심의 표현으로서 사회복지협의회가 탄생함(서비스 간 조정문제 예방에 대한 전문가의 관심).

 


미국 - 지역사회복지의 발전기 : 1960년대 이후 ~현재


1960년~1970년대

- 1960년대 및 1970년대는 빈곤문제인종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 나타남. 또한 시민권 운동의 성장, 빈곤과의 전쟁, 베트남 전쟁 등과 같은 사회적 상황은 시민참여와 사회정의에 대한 활동을 더욱 촉진시킴.

 

-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서 지역사회복지실천은 사회정의와 관련된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조직화가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전략과 접근을 활용한 사회행동옹호 계획이 개발.

 

- 지역사회의 내용도 기존의 전통적 범위를 넘어 보건, 지역사회정신건강, 교육, 주택 등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

 

- 그리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 결속력의 강화와 통합을 추구하였으며, 지역사회 자원의 합리적 배분과 지역사회의 변화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발전.

- 1960년대 : 빈곤과의 전쟁(war on poverty)이 국가적 이슈화, 이 시기는 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 내 계층 간의 상호 보조적 관계보다는 지역주민에게 최소한의 경제적 혜택을 받도록 돕는데 초점

: 이 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주민 참여를 강조]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 그중 지역사회행동 프로그램(CAP)은 서비스 전달보다는 [지역사회의 주민들을 조직화] 하고, 자신들이 당면한 문제 직접 해결하도록 유도

: 흑인 빈민지역에서 더욱 활발하게 진행

1970년대 중반~현재( 시민권 운동의 성장): 정부지원의 축소가 이뤄짐.

- 1970년대 후반부터 복지에 대한

[연방정부의 책임] → [지방, 민간기업, 가족에게] 중심을 두는 방향으로 전환

- 1980년대: 보수당 레이건 정부가 집권하면서, 도시 지역에 대한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 줄고 상당수의 공공서비스 민영화되자, 앨런스키 방식의 대결 전술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게 됨

(→ 지방정부에 돈을 뜯어내려 했던 목적이 재정지원이 축소되면서 사실상 무의미해짐)

 

- 이로 인해, 지역사회조직들이 지방정부와의 동반자 관계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합의 중시, 지역사회개발에 관심 옮겨 가게 됨

 

- 이 당시 민관협력을 토대로 지역사회개발 공사( 저소득층 저가 주택 건설 위주)를 행했던 조직은 기업 조직 성격이 강하여 대중조직으로서의 성격이 약해졌음.

 

- 그로 인해, 1990년대에는 포괄적 지역사회변화운동(CCI)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합의 중심 모델이 주목 받음

→ 결과적으로 1960년대 이후 미국의 지역사회복지는 다음과 같이 변모함.

① 지역중심의 지역복지에 있어서 평가 등 외부 영향력의 증대
② 사회계획과 사회행동을 위한 센터들의 증가 -> 합의중시의 지역사회개발에 관심
③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개인의 적응력 증대보다는 사회변화를 추구
④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접근방식, 프로그램, 목표 등이 다양화.세분화
⑤ 민간 비영리기관의 활성화

<관련 포스트 보러가기>

 

한국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https://happysteppingstone.tistory.com/104 

영국 지역사회복지 발달과정: https://happysteppingstone.tistory.com/102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