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1급/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정책론] 4. 복지국가의 개념과 필요성

by 정보덕보기 2021. 10. 5.
728x90
반응형

1. 복지국가의 개념


등장배경

: 복지국가는 자본주의가 산업화 과정에서 초래한 광범위한 빈곤, 산업재해, 경제적 불평등, 실업 등의 폐해를 치유하기 위해 등장(사회주의적 경향)

복지국가용어 사용

: 현대적 의미의 Welfare state는 영국에서 최초로 사용, 구두로 사용한 사람은 1934년 짐메른(Zimmrn)이었으며, 최초로 문자화한 사람은 1941년 템플(Temple)이다.

정의

: 복지국가는 비복지(diswelfare)를 제거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국가 혹은 국민들의 복지향상을 가장 중요한 책임과 의무로 삼는 국가로 정의될 수 있다.

: 복지국가는 모든 국민에게 경제적으로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생활 수준, 즉 '국민적 최소(national minimum)' 이상을 보장하는 국가이다.

복지국가의 특징

① 빈곤의 소멸 내지 현저한 감소
② 소득의 분배와 재분배에 대한 "평등화" 지향
③ 완전고용 실현
④ 사회보장에 충실
⑤ 혼합경제: 사유 재산제와 시장 경제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정부가 일정 부분 경제에 관여하는 경제 체제(ex. 케인스의 유효수요이론)

 

2. 복지국가의 필요성


- 공공재적 성격, 외부효과, 위험발생의 비독립성, 역선택, 도덕적해이, 규모의 경제

 

 

사회복지 재화나 서비스를 국가에서 제공해야 하는 이유: 국가 중심 복지의 필요성

사회복지 재화와 서비스의 공공재적 성격

: 공공재
는 쉽게 말해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한다. 즉, 모든 사람이 쓸 수 있기 때문에 비경쟁적이고 비배타적인 성격을 갖는다. 다만, 공공재를 유지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사람말고도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임승차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ex. 일정한 조세를 내는 국민이 있는 반면, 지불 능력이 없어서 조세를 내지 않는 국민이 있을 수 있다. 허나, 이들도 공공재는 이용가능하다.)
사회복지 재화나 서비스의 외부효과

외부효과

- 어떤 사람의 행위가 다른 사람의 복지에 시장기제의 바깥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
긍정적 외부효과(이웃효과)
- 어떤 사람의 행위를 통해 다른사람들이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도 이득을 볼 수 있는 것
ex. 자선을 통한 가난한 이웃이 줄어들거나 자선을 안한 사람도 가난한 이웃이 줄어들면서 범죄율감소, 집값의 상승 등의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다.
부정적 외부효과
- 한 사람의 행위가 그 행위에 대한 비용은 지불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주는 것.

→ 즉, 국가가 나서서 긍정적 외부효과는 강화시키고, 부정적 외부효과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사회복지재화나 서비스의 정보 선택의 중요성

: 어떤 재화가 시장에서 효율적인 배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가 재화의 질과 가격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 그러나 사회복지 재화나 서비스는 정보를 수집하는데 접근하기 어렵고, 이해하기 힘든 경향이 있어 잘못된 정보를 얻을 확률이 높아 시장에서 작동하기 어렵다.
: 따라서 국가가 직접 나서서 국민들이 사회복지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역선택 문제

: 미래를 대비한 사회보험의 경우 위험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은 높은 보험료 때문에 가입을 하지 않고, 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만 가입하게 된다.

: 이렇게 되면 사고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보험료를 높이게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 이러한 악순환은 결국 보험 상품이 민간시장에서 존재하기 어렵게 만든다.
: 따라서 역의 선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는 보험을 집단적으로 가입하게 한다.(강제가입)
: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역선택 문제가 줄어든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가 전 국민을 강제로 가입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도덕적 해이 문제

: 어떤 위험에 대비한 보험에 가입하면, 사람들은 그러한 위험 발생에 대한 예방적인 행위를 적게하는 경향을 말한다. 즉, 보험만 믿고 스스로를 지키려는 노력이 줄어든다.

: 이를 공공부조로 가져온다면, 공공부조의 수급자들은 빈곤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매달 꼬박 들어오는 비용을 받다보면, 빈곤에서 굳이 벗어날 필요를 느끼지 않기 때문이다.
: 따라서 국가는 건강보험료에는 자기부담금을 부과하고, 고용보험은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을 때 헤택을 보게 하거나, 질병수당은 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등의 적극적 조치를 취한다.
위험발생의 비독립성(상호의존성) 문제

: 전염병과 같은 어떤 사람의 위험발생이 다른 사람의 위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이를 위험발생의 비독립성이라 한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재정의 안정화를 이룰 수 없게 된다.

: 대표적인 예 중 제일 심각한 것은 실업보험인데, 이는 국가의 경제가 사람들의 실업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서로 연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민간보험에서 실업보험을 다루는 것은 사실상 어려우며, 이를 국가가 직접나서서 해결해야 하는 것이다.
규모의 경제

: 이는 생산요소 투입량의 증대(생산 규모의 확대)에 따른 생산비 절약 또는 수익향상의 이익을 뜻한다.

: 쉽게 말해서, 생산량이 2배 정도 늘어나도 그 물품의 생산에 드는 비용은 그 2배에 못미치거나 작게 드는 것으로, 그 만큼 줄어든 생산비용 만큼 이익을 보는 상태를 규모의 경제라고 한다. (반대로 생산량이 2배 늘어나는데 생산비용도 2배 혹은 그 이상으로 든다면 규모의 비경제라고 한다.)
: 본론으로 돌아와서 규모의 경제가 존재한다면 큰 경제 주체는 재화를 싼 가격에 팔아 시장을 지배하게 되어 재화가 비효율적으로 배분된다.(생산품을 만드는데 예상했던 것보다 생산에 드는 재료의 값이 적게 든다면, 이득을 보는 선에서 기존 가격보다 내려서 대량으로 팔 것이기 때문에)
: 이럴 경우, 규모의 경제가 큰 재화는 국가가 직접 제공하여 시장경제를 살리고, 재화를 효율적으로 배분토록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