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2020년도 기준으로 제출된 문제만을 모아서 정리한 포스트 입니다. 이 포스트 외의 기출문제 모음 또한 그러한 형식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
국민연금법
2012년도 기출문제
75. 국민연금법상 국민연금기금을 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013년도 기출문제
69. 국민연금법령상 분할연금을 받으려는 자가 모두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① 배우자의 국민연금 가입기간 중의 혼인 기간이 5년 이상일 것 ㅇ
② 배우자와 이혼하였을 것 ㅇ
③ 배우자였던 사람이 노령연금 수급권자일 것 ㅇ
④ 60세가 되었을 것 ㅇ
⑤ 요건을 모두 갖추게 된 때부터 1년 이내에 청구할 것 = 5년 이내
ㅁ 분할연금: 이혼한 배우자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혼할 경우 배우자의 노령연금을 분할하여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 = 요건 충족 후 "5년 이내 " 청구
① 수급자격( 아래 3 가지 모두 충족되어야 함)
① 혼인기간 5년 이상인 자가 배우자와 이혼한 경우
② 혼인기간 5년이상인 자의 배우자였던 사람이 노령연급 수급권자인 경우
③ 혼인기간 5년 이상인 자가 60세 이상이 된 경우를 충족
→ 일정한 금액의 분할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
② 분할연금액: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부양가족연금액은 제외한다) 중 혼인 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균등하게 나눈 금액으로 한다.
③ 분할연금은 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게 된 때부터 5년 이내에 청구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따른 혼인 기간의 인정 기준 및 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ㅁ 분할연금 청구의 특례(제64조의3)
① 제64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제64조제1항제3호의 연령(60세 이상) 에 도달하기 이전에 이혼하는 경우에는 이혼의 효력이 발생하는 때부터 분할연금을 미리 청구(이하 "분할연금 선청구"라 한다)할 수 있다. 이 경우 제64조제3항에 따른 청구를 한 것으로 본다(선청구를 하고 제2항에 따른 선청구의 취소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 한정한다).
② 제1항에 따른 분할연금 선청구는 이혼의 효력이 발생하는 때부터 "3년" 이내에 하여야 하며, 제64조제1항제3호의 연령이 도달하기 이전에 분할연금 선청구를 취소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연금 선청구 및 선청구의 취소는 1회에 한한다.
|
③ 제1항에 따라 분할연금을 선청구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제64조제1항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추게 된 때에 분할연금을 지급한다.
④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분할연금 선청구 및 선청구 취소 방법ㆍ절차 등 시행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2014년도 기출문제
55. 국민연금법령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① 기여금이란 사업장가입자의 사용자가 부담하는 금액을 말한다.
= 사업장가입자가 부담하는 금액
= 위 설명은 '부담금'에 대한 설명
② 사용자란 해당 근로자가 소속되어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를 말한다.
③ 평균소득월액이란 매년 사업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 전원의 기준소득월액을 평균한 금액을 말한다. ㅇ
④ 기준소득월액이란 연금보험료와 급여를 산정하기 위하여 가입자의 소득월액을 기준으로 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을 말한다. ㅇ
⑤ 사업장이란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소 및 사무소를 말한다. ㅇ
1.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가 무엇이든 사업장에서 노무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을 받아 생활하는 자(법인의 이사와 그 밖의 임원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는 제외한다.
☞ (대통령령)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2조(근로자에서 제외되는 사람)
○ 일용근로자/1개월 미만의 기한을 정하여 사용되는 근로자, 1개월 이상 계속 사용되면예외
○ 소재지가 일정하지 않는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
○ 법인의 이사 중 제3조 제1항 제2호에 따른 소득이 없는 사람
○ 1개월 동안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
다만 해당 단시간근로자 중 [생업 목적]으로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제외한다.
가.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고등교육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강사
나. 3개월 이상 계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사용자 '동의 ' 를 받아 근로자로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사람
다. ' 둘 이상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면서 각 사업장의 1개월 소정근로시간의 합이 '60시간 '이상인 사람으로서 1개월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사업장에서 근로자로 적용되기를 희망하는 사람
|
||
2. "사용자(使用者)"란 해당 근로자가 소속되어 있는 사업장의 사업주를 말한다.
|
||
3. "소득"이란 일정한 기간 근로를 제공하여 얻은 수입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과세소득을 제외한 금액 또는 사업 및 자산을 운영하여 얻는 수입에서 필요경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
|
||
4. "평균소득월액"이란 매년 사업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 전원(全員)의 기준소득월액을 평균한 금액을 말한다. - 사업장 및 지역가입자의 전원 기준소득월액 합산금액의 평균
|
||
5. "기준소득월액"이란 연금보험료와 급여를 산정하기 위하여 국민연금가입자(이하 "가입자"라 한다)의 소득월액을 기준으로 하여 정하는 금액을 말한다
|
||
6. "사업장가입자"란 사업장에 고용된 근로자 및 사용자로서 제8조에 따라 국민연금에 가입된 자를 말한다.
7. "지역가입자"란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자로서 제9조에 따라 국민연금에 가입된 자를 말한다.
8. "임의가입자"란 사업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 외의 자로서 제10조에 따라 국민연금에 가입된 자를 말한다.
9. "임의계속가입자"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제13조제1항에 따라 가입자로 된 자를 말한다.
|
||
10. "연금보험료"란 국민연금사업에 필요한 비용으로서
→ 사업장가입자: 사용자의 [부담금] + 사업장가입자의 [기여금] = [연금보험료] 각각 45/1000
→ 지역가입자ㆍ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가입자: 본인부담금(본인이 내는 금액) 90/1000
|
||
11. "부담금"이란 사업장가입자의 사용자가 부담하는 금액을 말한다.
12. "기여금"이란 사업장가입자가 부담하는 금액을 말한다.
13. "사업장"이란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소 및 사무소를 말한다.
14. "수급권"이란 이 법에 따른 급여를 받을 권리를 말한다.
15. "수급권자"란 수급권을 가진 자를 말한다.
16. "수급자"란 이 법에 따른 급여를 받고 있는 자를 말한다.
|
||
17. "초진일"이란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되는 질병이나 부상에 대하여 처음으로 의사의 진찰을 받은 날 을 말한다. 이 경우 질병이나 부상의 초진일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
||
18. "완치일"이란 장애의 주된 원인이 되는 질병이나 부상이 다음 각 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날을 말한다. 이 경우 증상의 종류별 완치일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가. 해당 질병이나 부상이 의학적으로 치유된 날
나. 더 이상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로서 그 증상이 고정되었다고 인정되는 날
다. 증상의 고정성은 인정되지 아니하나, 증상의 정도를 고려할 때 완치된 것으로 볼 수 있는 날
|
||
19. "가입대상기간"이란 '18세'부터 초진일 혹은 사망일까지의 기간으로서, 다음의 각 목에 해당하는 기간을 제외한 기간을 말한다.
→ 다만, 18세 미만에 가입자가 된 경우에는 → 18세 미만인 기간 중 보험료 납부기간을 가입대상기간에 포함하고, → 초진일이나 사망일 이전에 나목과 다목에 해당되는 기간에 대하여 제92조에 따라 보험료를 추후 납부하였을 경우에는 그 추후 납부한 기간을 가입대상기간에 포함한다.
가. 제6조 단서에 따라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간
나. 18세 이상 27세 미만인 기간 중 제9조제3호에 따라 지역가입자에서 제외되는 기간
다. 18세 이상 27세 미만인 기간 중 제91조제1항 각 호에 따라 연금보험료를 내지 아니한 기간(제91조제1항제2호의 경우는 27세 이상인 기간도 포함)
|
57. 국민연금법령상 급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
① 노령연금 ② 상병보상연금
③ 유족연금 ④ 장애연금
⑤ 반환일시금
ㅁ 국민연금법령상 급여의 종류
: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 및 사망일시금, 분할연금
|
61. 외국과의 사회보장협정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 법은? 1
① 국민연금법 ② 고용보험법
③ 국민건강보험법 ④ 노인장기요양보험법
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ㅁ 외국과의 사회보장협정(제127조)
대한민국이 외국과 사회보장협정을 맺은 경우에는 이 법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의 가입, 연금보험료의 납부, 급여의 수급 요건, 급여액의 산정, 급여의 지급 등에 관하여 그 사회보장협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2015년도 기출문제
72. 국민연금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① 부담금이란 사업장가입자가 부담하는 금액을 말한다.
=> 부담금은 사업장가입자의 사용자가 부담하는 금액이다.
=> 사업장가입자가 부담하는 금액은 '기여금'이라 한다.
② 가입자는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가입자로 구분한다. ㅇ
③ 가입자의 가입 종류가 변동되면 그 가입자의 가입기간은 각 종류별 가입기간을 합산한 기간으로 한다. ㅇ
④ 국민연금공단은 법인으로 한다. ㅇ
⑤ 연금액은 지급사유에 따라 기본연금액과 부양가족연금액을 기초로 산정한다. ㅇ
2016년도 기출문제
67. 국민연금법상 지역가입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3
ㅁ 지역가입자 (제9조):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자로서 18세 이상 60세 미만인 자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한다.
☞ 지역가입자 제외자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의 배우자로서 별도의 소득이 없는 자
가. 국민연금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는자의 배우자로서 별도의 소득이 없는자
나.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및 임의계속가입자의 배우자로서 별도의 소득이 없는자
라. 노령연금 수급권자 및 퇴직연금등수급권자의 배우자로서 별도의 소득이 없는자
|
||
2. 퇴직연금등수급권자.
→ 다만, 퇴직연금등수급권자가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라 연계 신청을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
3. 18세 이상 ~ 27세 미만인 자로서 학생이거나 군 복무 등의 이유로 소득이 없는 자(→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사실이 있는 자는 제외한다)
|
||
4. 생계급여 수급자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
||
5. "1년 "이상 행방불명된 자. 이 경우 행방불명된 자에 대한 인정 기준 및 방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2017년도 기출문제
73. 국민연금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① 국민연금제도는 다음세대에서 현재세대로 국민간에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한다. x
② 국민연금보험료는 조세로 볼 수 없다. ㅇ
③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기능은 고소득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다.ㅇ
④ 국민연금제도는 헌법상의 시장경제질서에 위배되지 않는다.ㅇ
⑤ 공적연금수급권은 재산권 보호의 대상이 된다. ㅇ
74. 국민연금법상 유족연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①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사망하면 그 유족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된다. ㅇ
②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가 사망하면 그 유족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된다. ㅇ
③ 유족연금 수급권자인 배우자가 재혼한 때에는 그 수급권은 소멸한다. ㅇ
④ 자녀인 유족연금 수급권자가 다른 사람에게 입양된 때에는 그 수급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x = 소멸한다.
⑤ 장애등급이 3급인 장애연금 수급권자가 사망하면 그 유족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되지 아니한다. ㅇ
→ 유족연금은 유족연금수급권자가 사망할 당시 그에게 생계를 의지하고 있는 유족에게 지급하는 것이므로 입양이나 재혼 등을 통해 더 이상 생계를 의존하지 않게 되면, 그 수급권은 사실상 소멸한다.
ㅁ 유족연금의 수급권자(제72조)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이 사망하면 그 유족에게 유족연금을 지급한다.
1. 노령연금 수급권자
|
||
2.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
|
||
3. 연금보험료를 낸 기간이 가입대상기간의 3분의 1 이상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
|
||
4. 사망일 5년 전부터 사망일까지의 기간 중 연금보험료를 낸 기간이 3년 이상인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 다만, 가입대상기간 중 체납기간이 3년 이상인 사람은 제외한다.
|
||
5. 장애등급이 "2급" 이상인 장애연금 수급권자
|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같은 항 제3호 또는 제4호에 해당하는 사람이 다음 각 호의 기간 중 사망하는 경우에는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1. 제6조 단서에 따라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간
2. 국외이주ㆍ국적상실 기간
|
2018년도 기출문제
71. 국민연금법에 따른 급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5
① 노령연금 ② 장애연금
③ 유족연금 ④ 반환일시금
⑤ 장의비(葬儀費)
]
ㅁ 국민연금법령상 급여의 종류
: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 및 사망일시금, 분할연금
|
2019년도 기출문제
65. 국민연금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
① 이 법을 적용할 때 배우자의 범위에는 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자를 제외한다. = 포함한다.
② 수급권을 취득할 당시 가입자였던 자의 태아가 출생하면 그 자녀는 가입자였던 자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자녀로 본다.
③ 가입자의 종류는 사업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2가지로 구분된다.
=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및 임의계속가입자 4가지로 구분된다.
④ 지역가입자가 사업장가입자의 자격을 취득한 때에는 그에 해당하게 된 날의 다음 날에 지역가입자의 자격을 상실한다. = 사업장가입자 자격을 취득한 날에 지역가입자 자격을 상실한다.
⑤ 수급권자가 사망한 경우 그 수급권자에게 미지급 급여가 있으면 그 급여를 받을 순위는 자녀, 배우자, 부모의 순으로 한다.
= 배우자, 자녀, 부모, 손자, 조부모 순으로 하여 제1순위에게만 급여를 제공한다.
ㅁ 유족의 범위 등(제73조)
① 유족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유족은 제72조 제1항의 사람이 사망할 당시 그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고 있던 다음의 자로 한다.
지급대상순위
|
지급요건
|
1.배우자
|
|
2.자녀
|
25세 미만 or 장애등급 2등급 이상
|
3.부모
|
배우자 부모 포함 and 60세 이상 or 장애등급 2등급 이상
|
4.손자녀
|
19세 미만 or 장애등급 2등급 이상
|
5.조부모
|
배우자의 조부모 포함 and 60세 이상 or 장애등급 2등급 이상
|
② 유족연금은 제 1항의 순위에 따라 최우선 순위자에게만 지급한다.
③ 같은 순위의 유족이 2명 이상이면 그 유족연금액을 균등하게 지급하되, 지급방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사회보장급여법
2019년도 기출문제
57.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5
ㅁ 제40조(시ㆍ도사회보장위원회)
⑤ 보장기관의 장은 시ㆍ도사회보장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운영비 등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
|
ㅁ 제42조의2(통합사례관리)
① 보건복지부장관,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지원대상자의 사회보장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지원대상자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특성에 따른 상담과 지도, 사회보장에 대한 욕구조사, 서비스 제공 계획의 수립을 실시하고, 그 계획에 따라 지원대상자에게 보건ㆍ복지ㆍ고용ㆍ교육 등에 대한 사회보장급여 및 민간 법인ㆍ단체ㆍ시설 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연계ㆍ제공하는 통합사례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통합사례관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특별자치시 및 시ㆍ군ㆍ구에 통합사례관리사를 둘 수 있다. ------(ㄷ)
③ 보건복지부장관은 통합사례관리 사업의 전문적인 지원을 위하여 해당 업무를 공공 또는 민간 기관ㆍ단체 등에 위탁하여 실시할 수 있다.
④ 제2항에 따른 통합사례관리사의 자격ㆍ업무 등 운영에 필요한 사항과 제3항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사업의 지원업무 위탁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
2020년도 기출문제
56.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상 사회보장정보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① 사회보장정보원은 법인으로 한다. ㅇ
② 정부는 사회보장정보원의 설립에 필요한 비용을 출연할 수 있다. ㅇ
③ 사회보장정보원의 운영에 필요한 비용은 정부가 지원할 수 없으며 정보이용자가 지불하는 부담금으로 충당한다.
④ 사회보장정보원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는 「민법」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ㅇ
⑤ 사회보장정보원의 임직원은 그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ㅇ
57.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상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제43조(사회복지전담공무원) - 임용 등의 사항은 '대통령령'
- 업무는 '보건복지부령'에서 정하는 사회복지 업무 수행
①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시ㆍ도, 시ㆍ군ㆍ구, 읍ㆍ면ㆍ동 또는 사회보장사무 전담기구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둘 수 있다. ----- (ㄱ)
②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 하며, 그 임용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ㄴ)
③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사회보장급여에 관한 업무 중 취약계층에 대한 상담과 지도, 생활실태의 조사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적 업무를 담당한다.
④ 국가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 등에 드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다.
⑤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제3조에 따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교육훈련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 (ㄷ)
|
'사회복지사1급 > 사회복지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법제] <기출> 7.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기출문제 모음 (0) | 2021.11.17 |
---|---|
[사회복지법제] <기출> 6. 국민건강보험법과 고용보험법 기출문제 모음 (0) | 2021.11.16 |
[사회복지법제] 3.<기출> 사회복지사업법 관련 기출 모음 (0) | 2021.11.14 |
[사회복지법제] 2. <기출> 사회복지법의 개요와 사회보장기본법 문제모음(12~20) (0) | 2021.11.13 |
[사회복지법제] 1. 사회복지법제의 기본개요 Part03. 사회보장수급권과 권리구제/ 사회복지법의 체계 (0) | 2021.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