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사1급187

[사회복지정책론] 9. 사회문제 이론 간략 정리(기능주의, 갈등주의,상호작용 주의적 관점) 1. 기능주의적 관점 ㅁ 이론적 접근 사회 문제의 정의 - 사회체제 중의 일부가 기능적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합의된 규범을 준수하지 못하거나, 사회화 과정이나 결과에서 실패하는 등 체제의 일부가 제기능이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현상 ​ - 사회문제란? 어떤 사회적 현상이 ① 사회적 가치(규범)을 벗어나고, ②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 현상으로 인하여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으며 ③ 그 원인이 사회적인 것이며, ④ 다수의 사람들이나 영향력있는 일부의 사람들이 문제로 판단하고 있고, ⑤ 사회가 개선을 바라고, ⑥ 개선을 위하여 집단적-사회적 행동이 요청되는 것을 말한다. 사회 문제의 원인 - 사회 전체의 기능적 결함 때문이 아니라 사회체계 일부 의 사회화 기능과 사회통제 기능의 실패 때문이다. - 다.. 2021. 10. 10.
[사회복지정책론] 8. 사회복지정책의 분석방법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방법 1. 욕구분석 - 수집된 자료를 분석을 통한 현 문제의 성격을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욕구 상태를 설명하고 미래의 욕구를 예견한다. - 다양한 측면에서 욕구의 범위에 대한 평가작업을 상이한 방법론을 통해 수행한다. - 발행 혹은 미간행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현존하는 정보, 인구통계, 기관기록물, 개인 혹은 가구단위의 특별조사, 전문가 면접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제의 성격을 상세히 기록한다. - 정책분석가는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해서 현재의 욕구 상태를 설명하고 미래에 발생가능한 욕구를 예견한다. ​ 2. 비용편익분석 - 각 정책의 비용과 편익을 화폐 단위의 형태로 계산하여 비교분석하는 방법 - 경제학자들을 통해 개발된 분석방법이다. 사회정책 및 .. 2021. 10. 10.
[사회복지정책론] 7. 사회복지정책의 결정모형 사회복지정책 결정 모형 1. 합리모형(rational model) - 정책결정자의 이성과 완전한 합리성을 전제한다. 즉, 정책결정자의 전지(全知)를 전제로 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체계적·포괄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최적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고 보는 정책결정 모형 최적의 대안 선택이 이뤄질 수 있다(규범적, 이상적, 연역적). - 정책결정자의 이성과 완전한 또는 고도의 합리성에 따라 목표달성의 최적의 대안을 탐색하고 선택하게 된다는 규범적·이상적·연역적 이론모형 - 인간은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며 정책결정자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갖고 있고 또 그것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임을 전제 - 경제적 합리성(절대적 합리성)을 전제 - 합리적 경제인을 가정 - 전지의 인간을 가정.. 2021. 10. 9.
[사회복지정책론 기출 12~20년도] Part 03. 사회복지 이념과 모형과 사회복지발달이론/ 정책발달이론 2012년도 기출문제 ​ 5. 정책결정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 ㄱ: 점증모형 ㄷ: 합리모형 ​ 11.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 개입 근거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① 사회보험에 완전경쟁원리 도입 ② 사회복지의 공공재적 성격 ㅇ ③ 민간보험에서 나타나는 역선택 문제 ㅇ ④ 사회적 안정 증진 ㅇ ⑤ 소득재분배를 통한 불평등 완화 ㅇ ​ ㅁ 공공재적 성격, 외부효과, 위험발생의 비독립성(상호의존성), 역선택, 도덕적해이, 규모의 경제 ​ 16. 복지국가 발달이론 중 수렴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5 ㄱ,ㄴ,ㄷ,ㄹ ​ ㅁ 산업화 이론(수렴이론) - 산업화의 산물인 사회적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지국가가 발전 - 복지국가의 발전은 산업화로 인해 나타난 욕구에.. 2021. 10. 8.
[사회복지정책론] 6-2. 사회복지 이념 모형Part 02.미쉬라/에스핑 안데르센/ 그 외 학자별 이념모형 표 정리 미쉬라의 모형 - 3분형으로 보완적 모형(우파), 제도적 모형(중도파), 규범적 모형(좌파) - 2분형으로 분화 복지국가, 통합 복지국가로 구분 1. 개요 - 미쉬라는 사회복지의 모형을 3분형으로 보완적 모형(우파), 제도적 모형(중도파), 규범적 모형(좌파)로 구분하였다. - 미쉬라의 유형은 2분형으로 분화 복지국가와 통합 복지국가(경제집단의 상호의존성을 인식하여 사회적 협력형태로 제도화 추구)로 구분하였다. - 미쉬라의 복지국가 모형은 퍼니스와 틸턴의 분류보다 실용성이 제고된 점에서 더 발전적이라고 볼 수 있으나, 조합주의와 권위주의(전체주의)와의 실질적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2. 복지국가의 특징 - 복지국가는 사회복지를 국민들의 삶과 관련하여 최소한의 전국적 기준을 위해 국가의.. 2021. 10. 8.
[사회복지정책론] 6-1. 사회복지 이념 모형 Part01. 윌렌스키&르보/ 티트머스/ 퍼니스&틸턴/ 조지&윌딩 1. 윌렌스키 & 르보의 사회복지이념모형 (보/제) 1) 잔여적(residual) 모형 - 보충적인 개념, 협의의 개념으로서 어떠한 일이 발생한 이후 그 일이 가족이나 시장이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개입하는 작은 정부 - 소극적 자유, 자유시장경제 원칙 -> 시장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 최소화 - 협의의 복지 - 초기 산업사회, 자유주의 국가 - 가족· 시장기능 실패 시 보충적 국가 개입(즉, 사후적 서비스) - 최저 생활의 보장 구현 - 선별주의: 요보호자 대상, 엄격한 자산조사 필수(사회적 낙인 심함) - 공공부조, 개인주의, 자유주의, 최저급부(급여수준이 낮음) - 능력에 따른 자원 배분 - 부의 수직적 재분배 강조 - 수익자 부담의 원칙 적용 - 대표적으로 미국과 같은 작은 정.. 2021. 10. 8.
[사회복지정책론] 5. 복지국가의 발달이론과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산업화이론, 수렴이론, 독점자본이론, 사회민주주의 이론 등등) 1. 복지국가의 발달이론 1) 산업화 이론 - 산업화의 산물인 사회적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지국가가 발전 - 복지국가의 발전은 산업화로 인해 나타난 욕구에 대해 산업화로 인해 활용 가능해진 자원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졌다(윌렌스키&르보)는 이론 - 즉, 경제발전과 산업화와 함께 수반된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화를 통해 형성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에서 복지국가가 발달하였다는 것이다. - 수렴이론: 서로 다른 정치 이념과 문화를 가진 국가도 유사한 수준의 산업화만 이루게 되면 복지국가로 발전되어 유사한 사회복지체제를 갖게 된다.(윌렌스키,1975) - 사회적 관점: 인구학적, 사회적 변동의 결과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 책임의 필요성 증대 - 경제적 관점: 경제발전으로 복지국가 .. 2021. 10. 7.
[사회복지정책론] 4. 복지국가의 개념과 필요성 1. 복지국가의 개념 ㅁ 등장배경 : 복지국가는 자본주의가 산업화 과정에서 초래한 광범위한 빈곤, 산업재해, 경제적 불평등, 실업 등의 폐해를 치유하기 위해 등장(사회주의적 경향) ​ ㅁ 복지국가용어 사용 : 현대적 의미의 Welfare state는 영국에서 최초로 사용, 구두로 사용한 사람은 1934년 짐메른(Zimmrn)이었으며, 최초로 문자화한 사람은 1941년 템플(Temple)이다. ​ ㅁ 정의 : 복지국가는 ​비복지(diswelfare)를 제거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국가 혹은 국민들의 복지향상을 가장 중요한 책임과 의무로 삼는 국가로 정의될 수 있다. : 복지국가는 모든 국민에게 경제적으로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생활 수준, 즉 '국민적 최소(national m.. 2021. 10. 5.
[사회복지정책론 기출12~20]Part02.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2012년도 기출문제 ​1. 사회복지 발달을 18세기 공민권, 19세기 정치권, 20세기 사회권 등 시민권의 확대과정으로 설명한 학자는? 1 ① 마샬(T.H.Marshall) ② 케인즈(J.M.Keynes) ③ 스미스(A.Smith) ④ 티트머스(R.Titmuss) ⑤ 폴라니(K.Polanyi) ​ ​ 2. 베버리지(Beveridge) 보고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① 사회보장의 본질을 소득보장으로 보고, 포괄적 보건의료서비스는 사회보장 전제조건의 하나로 보았다. ㅇ ② 국민최저선 보장을 위해 사회보장에서 공공부조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 사회보험 ③ 5대악 중 궁핍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 사회보장이라고 보았다. ㅇ ④ 완전고용을 사회보장 전제조건의 하나로 보았다. ㅇ ⑤ 가족수당을 사.. 2021. 10. 5.
728x90
반응형